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르크스3

[칼럼] 자본주의: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자들의 학습 능력을 간과했다. 최근에서야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에 관심을 갖고 읽었다. 작년에 출장으로 베를린에 갔을 때, 홈볼트대학교 본관 중앙계단에 마르크스의 테제(Thesis)이 크게 써져 있던게 각인이 됐던 기억이 있다. “지금까지 철학자들은 이런 저런 방법으로 세계를 해석만 했지만, 중요한 것은 세계를 바꾸는 것이다.” - 칼 마르크스 '실천'이 마르크스주의의 굉장히 핵심 개념이라는 점이 왠지 썩 마음에 든다. 자본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의 해석과 그가 주장한 자본주의 한계는 이미 지나온 과거가 됨으로써 결론이 났다. 그러나 그의 철학 기저에 깔린 변증법적인 형태로 공산당 선언의 10가지 강령중의 일부는 현재 한국에서도 적용중이다. 누진세 무상교육 아동 노동 금지 국가 주도의 부동산 계획 마르크스 주의에 대한 대표적인 비판은 '.. 2020. 11. 19.
[철학논문] 헤겔의 행복관: 욕망 충족으로서의 행복 - 2편 1편에 이어서 2편을 작성한다. 1편에서는 아래 항목들에 대해 다루었다. 본 논문의 선정 계기 헤겔의 변증법 개요, 헤겔 배경(위키) 본 논문의 배경 및 학술지 소개 헤겔의 '정신현상학'-'이성' 챕터에서의 행복의 정의: 소명에 따른 삶 이성 단계의 개인이 행복에 도달키 어려운 이유 및 한계점: 자본주의의 영향으로 행복의 계량화를 통해 불안을 느낌 계몽주의의 개인: 계몽주의는 경험을 통해 설명할 수 없는 종교적인 것을 현실과 무관한 것으로 부정 본 글에서는 아래 항목에 대해 기술한다. 계몽적 개인의 행복 인륜적 행복 욕망과 인정의 실현으로서의 행복 헤겔 행복관의 현대적 의미 1. 계몽주의 개인의 행복 '이성'장의 개인과 비교하면 '계몽주의'의 개인은 '필연성'과 같은 어쩔 수 없는 힘에 휘둘리지 않고, .. 2020. 11. 9.
[철학논문] 헤겔의 행복관: 욕망 충족으로서의 행복 - 1편 읽게 된 계기: 최근 철학책을 몇 권째 보던 중, 문득 근래 철학자들은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가 궁금해졌다. 철학의 현대연구에 대한 호기심으로 우리나라의 '철학'이라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가장 인용수가 많은 순으로 두 편을 출력했다. 이 논문은 그 중 두 번째로 인용수(4020회)가 많은 논문이다. 행복이란 단어는 흔히 접하게 되지만 정작 '행복이란 무엇인가?' 에 대한 고찰을 해보지는 않은 것 같다. 매우 막연하고 주관적인 단어라 생각된다. 이에 대한 스스로의 정의를 내리는 데 도움을 받고자 헤겔의 관점에서 해석한 행복을 알아본다. 헤겔 하면 변증법, 변증법 하면 정반합, 정반합 하면 동방신기가 연상되는게 내 헤겔에 대한 배경지식의 전부이다. 변증법 헤겔은 정반합(正反合)의 개념으로 변증법을 정형화.. 2020.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