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이트2

[심리] 칼 융의 무의식에 관한 탐구: Abstract 프로이트와 융이 처음 만났을 때, 13시간을 대화했다고 한다. 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의 시초로 유명하고 칼 융은 프로이트의 학회를 계승할 뻔 하다가 이견으로 인해 분석심리학회를 만든다. 어떤 이견이 있었고, 왜 그런 관점의 차이가 발생했는지 등이 내 호기심을 자극했다. 따라서 심리학 빅3에(프로이트, 융, 아들러)에 대해 미약하나마 정보를 접해봤고, 현대 심리학/철학 연구자들은 이들에 대해 어떤 시각으로 논의하고 있는지 틈나는대로 정리하려 한다. 융과 아들러는 간접적으로나마 이들의 이론을 토대로 한 책을 읽었고, 프로이트는 강의를 찾아들었었다. (칼융)12가지 인생의 법칙-조던 피터슨 (아들러)미움받을 용기-고가 후미타케, 기시미 이치로 아래는 칼 융의 이론을 중심으로 타 사상들과의 차이점을 정리하고, 융.. 2020. 11. 27.
[철학] 사람들이 쇼핑 대신 섹스에 몰두하면 경제는 망한다. 섹스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유해본적은 없다. 핑계를 대자면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결혼관(일부일처제)/성적가치관(지고지순한 사랑)이 이미 보편화 되어 있었고, 그런 당연한 것에 대해 의문을 품어볼 필요는 없지 않은가? 라며 변호해본다. '내가 왜 당연한 것 까지 일일히 사유해보아야 하는가?' 라며 넘어갈 수도 있겠지만, 역사적으로 위대한 철학자들은 항상 당연한것에 의문을 가지고 그것이 진정으로 타당한지에 대해 질문을 던졌던 사람들이다. (아쉽게도..) 섹스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간혹 경험 또는 생각해본 적이 있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확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도 있어보인다. 최근에도 개인의 성적/금전적 욕망을 미끼삼에 함정을 파고, 그것을 빌미로 개인을 통제하는 사건들이 비일비재하게 벌어지고 있다... 2020. 11. 15.
반응형